enpaku 早稲田大学演劇博物館

Online Exhibition

베쓰야쿠 미노루(別役実)가 만드는 법 ― 환상의 처녀작 희곡에서 소요소요(そよそよ)족으로

드라마투르기 구축

베쓰야쿠 미노루(別役実)는 1958년 와세다대학 입학과 동시에 극단 자유무대에 들어가 연극의 길로 들어섰다. 마침 문학좌(文学座)가 『고도를 기다리며』를 일본에서 초연한 60년경에 사무엘 베케트를 읽기 시작해, 극작가로 출발하는 바로 그 시기에 베케트를 만났다고 할 수 있다. 베쓰야쿠가 베케트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 자료들은 그것이 ‘극 구조’의 발견이었음을 말해준다.
「베케트 공간의 구조」(원고지 2장)는 중요하다. 동인지 『계간 평론』 등에 기고한 평론을 모은 『말에 대한 전술』(1972)의 「II 연극과 그 문체」에는 아베 고보(安部公房)나 페르난도 아라발(Fernando Arrabal) 등에 관한 평론이 실려 있고, 모두 『고도를 기다리며』를 언급하고 있다. 그 토대가 된 것이 아마 이 메모일 것이다. 두 장의 원고지에는 베케트 공간의 구조와 언어 분석, 아베의 『친구』에서의 발췌, 아라발의 『전쟁터의 소풍』에 대한 언급이 보인다. 이를 통해 베쓰야쿠가 베케트의 극 구조를 밝히고 독자적인 드라마투르기에 응용하기 위해 아베와 아라발을 동시에 비교 검토했음을 알 수 있다.
「아베(阿部) 고-보-[원문대로] 『친구』」라는 제목의 노트도 이 책의 평론 「연극에서의 언어 기능에 대해 아베 고보(安部公房) <친구>에서」(초출 『계간 평론』, 1972)를 위한 메모로 보인다. 같은 책에 수록된 평론 「소극장 운동을 돌아보며」(초출 『국제문화』, 1969)에는 『고도를 기다리며』가 “연극적인 ‘표정’을 반연극적인 ‘구조’가 배신하는” 연극이라는 베쓰야쿠의 발견이 기록돼 있다. 이 노트는 그 발견을 근거로 『친구』를 검토하려 한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구조는 없었다”라는 한 문장으로 마무리되어 있듯이 베쓰야쿠는 『친구』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다가온 고도」 의 자필 원고는 논창사(論創社)에서 2010년에 간행된 『다가온 고도』에 수록된 희곡의 원고로 보인다. 이 책의 후기를 읽으면 고도의 도래가 ‘금지된 수법’임을 알면서도 다시 한번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웃음을 되찾기 위해 본 작품이 구상된 것을 알 수 있어, 『고도를 기다리며』에 대한 베쓰야쿠의 일관된 애정을 느끼게 한다.

« ○창작 노트 | 전근대 예능에 대한 관심 »